1. ElastiCache 개요
RDS와의 유사성: RDS가 관계형 데이터베이스를 관리하듯, ElastiCache는 Redis 또는 Memcached 같은 캐시 기술을 관리
- 캐시란?
- 인메모리 데이터베이스로, 고성능과 낮은 지연 시간 제공
- 읽기 작업이 많은 워크로드에서 데이터베이스의 부하를 줄임
- 캐시에 데이터가 있으면 DB 쿼리 없이 데이터를 바로 가져옴(Cache Hit)
- 데이터가 없으면 DB에서 데이터를 가져오고 캐시에 저장(Cache Miss)
- 애플리케이션 상태 관리: ElastiCache를 활용해 애플리케이션 상태를 비저장형(stateless)으로 설정 가능
2. ElastiCache 활용 아키텍처
DB 캐시 사용
- 애플리케이션이 ElastiCache에 데이터 요청
- Cache Hit: 데이터가 있으면 바로 반환
- Cache Miss: DB에서 데이터를 가져오고 캐시에 저장
- 캐시 무효화(invalidation) 전략 필요(최신 데이터 유지)
- 유저 세션 저장
- 사용자가 애플리케이션에 로그인 시 세션 데이터를 ElastiCache에 저장
- 이후 다른 인스턴스로 리디렉션되어도 동일한 로그인 상태 유지
3. Redis vs Memcached
'AWS' 카테고리의 다른 글
Amazon Route 53 (0) | 2024.12.02 |
---|---|
ElastiCache 주요 정리 (0) | 2024.12.01 |
Amazon RDS Proxy (0) | 2024.12.01 |
RDS & Aurora 보안 (1) | 2024.12.01 |
RDS & Aurora - 백업과 모니터링 요약 정리 (0) | 2024.12.01 |